겨울농사 김장
(겨울농사 김장)
김장은 겨우내 먹을 김치를 한목에 담가두는 것이랍니다.
겨울철에는 신선한 채소를 구하기 어려웠으므로, 초겨울에 김치를 많이
담가서 저장하는 풍습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김치는 밥과 함께
아침·저녁으로 먹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저장성이 뛰어나며
비타민이 많이 보유되어 있고, 장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채소염장식품이랍니다. 이와 같이 김치는 효용성이 큰 필수식품이기
때문에 어느 지역, 어느 가정에서나 담그며 김장김치는 겨울의 절반의
양식이라고 하는데 김장을 하는 시기는 11월에 들어서서 6∼7℃의 기온이
2주일쯤 계속될 때가 적기여서, 입동을 사이에 두고 산간에서는
1주일가량 빠르게, 서울에서는 1주일쯤 늦게 하고, 경상도·전라도에서는
12월 중순경에 하는데 한 집안의 김장을 위하여 배추를 씻고 무를 채 썰고
양념을 버무리는 일만으로도 2∼3일 걸렸으므로, 서로 도와가며 김장을
하는 풍속이 있었답니다. 이 때 김장을 담그는 집에서는 돼지고기를
몇 근 사다가 삶아 놓고 배추의 노란 속잎과 양념을 준비하여
일하는 사람들이 먹도록 하였고 이것을 속대쌈이라 하며 지금도 미풍으로
전하여지고 있으며 김장이 끝나면 절인 배추나 남은 소를 나누어주고
겉절이를 나누어주기도 하였다고 하는데 어제 농사지은 배추를 뽑아다가
절이고 양념준비도 하고 금일 아침에 일찍 일어나 배추를 씻고
건져 놓으니 친구 부인들이 찾아와 함께 김장을 하였답니다.
겨울농사 김장을 하는 모습입니다.
한시도 한 수 지어보았습니다.
冬期農事 沈藏 | ||||||||
동기농사 침장 | ||||||||
冬期農事漚沈藏 準備材料夥數量 早曙鹽菘湔水道 午前辛粉混蔥薑 愛妻不息精誠盡 情友尋來努力忙 寒節三時良饌裕 招隣談笑百愁忘 |
|
동기농사구침장 준비재료과수량 조서염숭전수도 오전신분혼총강 애처불식정성진 정우심래노력망 한절삼시양찬유 초린담소백수망 | ||||||
|
| |||||||
|
겨울철 농사 김장을 담그려는데 준비한 재료들 수량이 많구나. | |||||||
|
새벽에 절인 배추를 수돗물에 씻고 오전에 고춧가루와 파 생강 등 양념을 혼합했네. | |||||||
|
사랑하는 아내 쉬지 않고 정성을 다하고 정겨운 벗 찾아와서 바쁘게 노력하여 | |||||||
|
추운 계절 삼시 좋은 반찬이 넉넉해지니 이웃을 초대하여 담소하며 백가지 근심 잊는다네. | |||||||
|
1. 期 : 기약할 기, 때기(時也) 2. 漚 : 담글 구 3. 沈藏 : 김장. 3. 夥 : 많을 과. 5. 菘 : 배추 숭 6.湔 : 씻을 전 6. 葱 : 파총 | |||||||
姓名 |
任文鎬 |
雅號 |
邃菴 |
作成日 |
2018年 11月 10日 |
(2018년 11월 10일 수암 임 문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