移葬祝文(이장축문)
移葬祝文(이장축문)
啓墓告祝(계묘고축)
維 歲次 壬辰 ㅇㅇ月 ㅇㅇ朔 ㅇㅇ日 ㅇㅇ(그달의 초하루일진과 그날의 일진)
孝子 ㅇㅇ敢昭告于 (아들 이름)
顯考學生府君
顯妣孺人 本貫ㅇㅇ氏之墓 葬于玆地
歲月滋久 體魄不寧 今將改葬
伏惟尊靈 不震不驚
*유 세차 임진 ㅇㅇ 월 ㅇㅇ삭 ㅇㅇ일 ㅇㅇ
효자 ㅇㅇ 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
현비유인 본관ㅇㅇ씨지묘 장우자지
세월자구 체백불녕 금장개장
복유존령 불진불경
*아버지와 어머니의 묘소를 이곳에 모셨으나 세월이
흘러 영혼이 평안하지 않아 이제 다른 곳으로
옮기려 하옵니다. 엎드려 비오니 놀라지 마시기
바라옵니다.
移葬後 읽는 祝文
*維 歲次 壬辰 ㅇㅇ月 ㅇㅇ朔 ㅇㅇ日 ㅇㅇ
孝子 ㅇㅇ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顯妣孺人 本貫ㅇㅇ氏 新改幽宅
禮畢終虞 夙夜靡寧 啼號罔極
謹以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유 세차 임진 ㅇㅇ월 ㅇㅇ삭 ㅇㅇ일 ㅇㅇ
효자 ㅇㅇ 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
현비유인 ㅇㅇㅇ씨지묘 신개유택
예필종우 숙야미녕 제호망극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향
*아버지 어머니 새집을 마련하고 예의를 다하여 일을
마치었으나 조석으로 편하지 않고 눈물이 그치지
않습니다. 삼가 술과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移葬할 곳의 土地神께 올리는 祝文
維
유
歲次 oo年 o月 oo朔 oo日 oo ooo敢昭告于
세차 년 월 삭 일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oo oo 宅兆不利
토지지신 금위 택조불리
將改葬于此 神其保佑 俾無後艱
장개장우차 신기보우 비무후간
謹以 淸酌脯果 祗薦于神 尙
근이 청작포과 지천우신 상
饗
향
兆;조짐 조. 俾;더할 비. 艱;어려울 간. 酌;따를 작.
薦;천거할 천.
*연월일의 간지는 앞의 예와 같고 금위 다음의 oo oo
이장 전 토시신의 축문과 같다.
풀이,
단기(서기) oooo년 o월 o일 ooo는 토지신께 삼가
아룁니다. 제 할아버님(할머님)의 유택이 이롭지 못하여
장차 이곳으로 옮겨 모시고자 합니다. 신께서 근심 걱정
없게 굽이 살펴주십시오. 삼가 술과 과일을 올리오니
음향 하시옵소서.
移葬時 破墓하기 전에 墓地에서 올리는 祝文
維
유
歲次 oo年 o月 oo朔 o日oo ooo敢昭告于
세차 년 월 삭 일 감소고우
顯000府君 葬于玆地
현 부군 장우자지
歲月滋久 體魄不寧 今將改葬
세월자구 체백불녕 금장개장
伏惟尊靈 不震不驚
복유존령 불진불경
葬;장사 장. 滋;더할 자. 魄;넋 백. 尊;높을 존.
靈;혼백 령. 震;벼락 진. 驚;놀랄 경.
*연월일의 간지는 토지신의 경우와 같고 감소고우 앞
ooo에서 앞부분은 이장할 분으로부터 행사자의
관계를 적는데, 예를 들어 부모이면 자(子) 조부모이면
손(孫) 증조부모이면 증손(曾孫) 고조부이면
현손(玄孫)이라고 적는다. 뒤의 oo는 행사자의 이름을
는다. 현 뒤의 oo도 행사자와의 관계인데 아버지이면
(考) 할아버지이면 조고(祖考) 증조할아버지이면
증조고(曾祖考) 고조할아버지이면 고조고(高祖考)로
적는다. 할머니의 경우 고 대신 비(妣)를 적고 뒤에
본관과 성씨를 적는다.
풀이,
단기(서기) oooo년 o월 o일 oo는 할아버님(할머님)
묘전에서 삼가 아룁니다. 할아버님(할머님)의 묘소를
모신지가 오래되었지만 몸과 혼백이 편안치 못하여 이제
새로운 곳으로 모시고자 합니다. 엎드려 비오니 파묘 때
땅의 흔들림에 제발 놀라지 마시옵소서.
石物을 세운 뒤 墓 앞에서 지내는 祝文
維
유
歲次 oo閏 o月 oo朔 o日 oo
세차 윤 월 삭 일
孝子 敢昭告于
효자 감소고우
顯考 學生府君之墓 今以吉辰
현고 학생부군지묘 금이길신
儀物多闕 謹具石物 用衛墓道 伏惟尊靈 是憑是安
의물다궐 근구석물 용위묘도 복유존령 시빙시안
謹以 酒果用伸 虔告 謹告
근이 주과용신 건고 근고
"모년 모월 모일 효자 은(는) 감히 돌아가신 학생부군
(아버님)께 고하나이다. 이제 길일을 맞아 의물이 빠져있었는데 삼가 석물을 갖추고 묘를 호위케 하옵니다.
존령께서는 여기에 의지하여 편안하소서. 이에 주과를
차려놓고 삼가 고하옵니다."
石物 설치 후 山神에게 고하는 土地神 祝文
維
유
歲次 (干支) (某)月 (干支)朔 (某)日 (干支)
세차 (간지) (모)월 (간지)삭 (모)일 (간지)
(奉祀者 이름) 敢昭告于 土地之神 今爲 (某貫某公)
(봉사자 이름) 감소고우 토지지신 금위 (모관모공)
墓儀未具 謹具石物 用衛墓道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묘의미구 근구석물 용위묘도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酒果用伸 祗薦于神 尙
주과용신 지천우신 상
饗
향
"모년 모월 모일 (아무개)는 감히 토지지신에게
고하나이다. 이제 (모관모공)의 묘의를 갖추지 못했다가
삼가 석물을 갖추고 신도를 호위케 했습니다. 신께서
도와주시어 후환이 없게 하옵소서. 삼가 주과를 차려
공경스럽게 올리오니 음향 하시옵소서.
※2023년 潤(윤)2월 移葬이나 사초를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아 다시 올려봅니다.
(2023年 陰曆 2月 20日 邃 菴 任 文 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