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수진설
제수진설
제상에 제의 음식을 차리는 것을 제수진설이라 하는데
옛 예서에도 통일되지 못하였고 따라서 현대도 각양 각색이다.
(많이 참고되는 예서)
1).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국조오례의 진설도는 고(考.남자조상), 비(비.여자조상)위를
한 상에 차리는 것이 현대의 진설법과 같으나, 신분에 따라
다르고 술잔이 신위마다 3개씩이어서 참고하기 어렵다.
*신분에 따라 6품이상과 서민으로 나눔
2). 율곡의 제의초(栗谷 祭儀초)
율곡의 제의초에만 탕(湯. 찌게)이 예시되고, 시접을 산 사람과
같이 신위의 우측인 서쪽에 놓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과실을
5접시로 예시 하였으나 그 이유는 설명하지 않았다.
3). 사계의 가례집람(沙溪 家禮輯覽)
사계의 가례집람이 율곡의 제의초와 다른 점은 시접이 중앙에
있으며 탕이 없고 초접이 갱보다 안쪽에 있고 과실이 짝수이면서
그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4). 도암의 사례편람(陶菴 四禮便覽)
도암의 사례편람은 사계의 가례집람과 같으면서도 다만
해(해.생선젓)와 침채(김치)의 위치를 바꾸고 식혜를(食醯)를
올리는 것만 다르다.
(이와 같은 예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고비각설(考비各設): 내외분이라도 남자조상과 여자조상은
따로 차린다. (현대는 모두 고비합설을 한다.)
2. 시접거중(匙접居中):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3. 잔서초동(盞西醋東): 술잔은 서쪽에 놓고 초접은 동쪽에
놓는다.
4. 반서갱동(飯西羹東): 메(밥)은 서쪽이고, 갱(국)은 동쪽이다.
5. 적접거중(炙접居中): 적(구이)은 중앙에 놓는다.
6.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이고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7. 면서병동(麵西餠東): 국수는 서쪽이고, 떡을 동쪽에 놓는다.
8. 서포동해.혜(西脯東해.醯): 포는 서쪽이고 생선젓과 식혜는
동쪽에 놓는다.
9. 숙서생동(熟西生東): 익힌 나물은 서쪽이고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다.
10. 천산양수 지산음수(天産陽數 地産陰數): 하늘에서 나는 것은
홀수이고 땅에서 나는 것은 짝수이다.
11. 동두서미(東頭西尾): 바다에서 생선이 나기 때문에 머리를
동쪽으로 하고 꼬리를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12. 배복방향(背腹方向): 계적, 어적, 조기젓, 생선포 등 등과
배가 있는 제수는 등이 바깥(위)쪽 배가 안(아래)쪽이 되게
담는 것이 순리(順理)일 것이다.바르게 놓는것(계적, 생선포)
은 등이 위로, 뉘어 놓는것(어적, 조기젓)은 배가 신위쪽으로
가게 담는다.
13. 과실위치(果實位置): 고례에는 어떤 예서에도 과실별 위치가
명시되지 않았는데 이유는 계절과 지방에 따라 과실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는 그렇지 않으므로 정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14.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색의 과실은 동쪽에 놓고, 흰색의
과실은 서쪽에 놓는다. 이 말은 다음 사항과 연계해서 설명을
하여 본다.
15. 동조서율(東棗西栗): 대추는 동쪽이고 밤은 서쪽에 놓는다.
이것은 예서에 근거가 있다. 즉, 혼인례에서 신부가 시아버지
에게 드리는 폐백이 대추와 밤인데 대추는 동쪽을 의미하고
밤(栗)은 서(西)쪽 나무(木)라 쓰므로 서쪽을 의미한다고 했다.
밤은 까서 쓰니까 흰 색이고 대추는 붉은 색인데 제수진설은
현란란 색깔을 피하므로 밤이 있는 서쪽에 흰색의 과실을 놓고
대추가 있는 동쪽에 붉은 과실을 놓는 것이 홍동백서이다.
16. 신위쪽부터 1열, 2열, 3열, 4열, 5열이라 한다.
(1열: 시접, 고위잔반 비위잔반. 초접). (2열: 전, 적,종류)
(3열: 탕,종류) (4열: 나물, 포, 김치,종류) (5열:과실)
*동서남북(東西南北)은 신위를 상좌(上座) 북(北)으로 하는
예절의 동서남북이다. 제의대상인 신위를 모신 곳을 북쪽
으로 설정해 신위의 앞이 남이고, 뒤가 북이며, 왼쪽이 동
이고, 오른쪽이 서쪽이 된다. 만일 제의례에서 일정한 기준
이 없이 좌우(左右)라 할 때는 신위의 좌우를 말하는 것이다.
(2011年 11月 25日 邃 菴 任 文 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