戒盈杯(계영배)
가득 참을 경계하라는 잔
계영기원 여이동사(戒盈祈願 與爾同死) “가득 채워 마시지 말기를
바라며, 너와 함께 죽기를 원한다.” 상도(商道)에서 조선시대 거상 임상옥이
가지고 있었다는 계영배에 새겨진 문구이다.
잔의 7할 이상을 채우면 모두 밑으로 흘러내려 버려 ‘넘침을 경계하는 잔’이라는
속뜻이 있는 계영배는 과욕을 하지 말라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물이기도 하다.
☞계영배에 7할 이상 술을 채우면 밑으로 흘러 버린다.
1).계영배는 고대 중국에서 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하늘에 정성을 드리며 비밀리에
만들어졌던 ‘의기(儀器)’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자료에 의하면 공자(孔子)(BC551- BC479)가 제(齊)나라 환공(桓公 ?-BC643)의
사당을 찾았을 때 생전의 환공이 늘 곁에 두고 보면서 스스로의 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사용했던 ‘의기’를 보았다고 한다. 이 의기에는 밑에 분명히 구멍이 뚫려
있는데도 불구하고 물이나 술을 어느 정도 부어도 전혀 새지 않다가 7할 이상
채우게 되면 밑구멍으로 쏟아져 버렸다. 환공은 이를 늘 곁에 두고 보는
그릇이라 하여 “유좌지기(有坐之器)”라 불렀고 공자도 이를 본받아
항상 곁에 두고 스스로를 가다듬으며 과욕과 지나침을 경계했다고 한다.
2).과음을 경계하기 위해 만든 잔으로, 절주배(節酒杯)라고도 한다.
술잔의 이름은 '넘침을 경계하는 잔'이라는 뜻이며, 잔의 70% 이상
술을 채우면 모두 밑으로 흘러내려 인간의 끝없는 욕심을 경계해야
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도 지닌다.고대 중국에서 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하늘에
정성을 드리며 비밀리에 만들어졌던 '의기'(儀器)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자료에
의하면 공자(孔子)가 제(齊)나라 환공(桓公)의 사당을 찾았을 때 생전의
환공이 늘 곁에 두고 보면서 스스로의 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사용했던 '의기'를
보았다고 한다. 이 의기에는 밑에 구멍이 분명히 뚫려 있는데도 물이나 술을 어느 정도
부어도 전혀 새지 않다가 7할 이상 채우게 되면 밑구멍으로 새어나가게
되어 있었다고 한다.
환공은 이를 늘 곁에 두고 보는 그릇이라 하여 '유좌지기'(宥坐之器)라 불렀고,
공자도 이를 본받아 항상 곁에 두고 스스로를 가다듬으며
과욕과 지나침을 경계했다고 한다. 이는 현대의 '탄탈로스의 접시'라는 화학 실험기구와
그 원리가 비슷하다. 한국에서는 실학자 하백원(1781∼1844)과 도공 우명옥이
계영배를 만들었다고 전한다. 하백원은 전라남도 화순 지방에서 태어나 20세까지
학문을 배우고 23세부터 53세까지 30여 년간 실학 연구에 몸을 바친
과학자·성리학자·실학자였다. 그는 계영배를 비롯하여 양수기 역할을 하는
자승차, 펌프같이 물의 수압을 이용한 강흡기와 자명종 등을 만들었다고 한다.
도공 우명옥은 조선시대 왕실의 진상품을 만들던 경기도 광주분원에서
스승에게 열심히 배우고 익혀 마침내 스승도 이루지 못한 설백자기(雪白磁器)를
만들어 명성을 얻은 인물로 전해진다.
그 후 유명해진 우명옥은 방탕한 생활로 재물을 모두 탕진한 뒤 잘못을 뉘우치고
스승에게 돌아와 계영배를 만들어냈다고 한다.
그 후 이 술잔을 조선시대의 거상 임상옥(林尙沃: 1779∼1855)이 소유하게 되었는데,
그는 계영배를 늘 옆에 두고 끝없이 솟구치는 과욕을 다스리면서 큰 재산을
모았다고 한다.
[출처] 계영배 | 두산백과
2.계영배의 구조
그렇다면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계영배를 들여다보면
잔 밑에 구멍이 하나 뚫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잔 내부를 보면 가운데 둥근 기둥이 있고 그 기둥 밑에 또
구멍이 하나 뚫려 있다. 계영배의 비밀은 바로 그 둥근 기둥 속에
감춰져 있다. 그 비밀은 술잔 정중앙을 싹둑 자른 단면을 보면
확연히 드러나게 된다. 계영배의 가운데 기둥 안에는 빨대를 말굽
모양으로 구부려 놓은 듯, 한 관이 숨어 있다. 술을 적당히 부으면
기둥 밑의 구멍으로 들어간 술이 기둥 안쪽 관의 맨 위까지 넘어가지 않기
때문에 술이 아래쪽으로 새지 않는다.
하지만 술을 가득 부어 기둥 속관의 맨 위까지 차면 구부러진 말굽
위로 넘어가게 되어 술이 아래쪽으로 빠지게 된다. 이때 잔 아래
구멍으로 연결된 관은 술이 빠지는 만큼 진공상태가 되므로 관 안쪽과 바깥의
압력 차로 인해 기둥 밑의 구멍 안으로 술이 계속 들어가
바닥이 보일 때까지 새게 된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해답은 바로 ‘압력’에
있다. 술을 관의 맨 윗부분 높이보다 적게 따를 경우, 잔 내부의
수압과 기둥 내의 대기압이 같기 때문에 술이 새지 않는다. 하지만
술을 계속해서 따를 경우, 잔을 채운 수압이 기둥 안쪽의 대기압보다 커져,
술이 잔 밑바닥과 연결된 통로 끝까지 빨려 들어간다. 이로 인해 술이
잔 밑바닥으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3.계영배의 원리 – 사이펀의 원리
계영배에는 잔을 기울이지 않고도 구부러진 관을 이용하여 액체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게 하는 사이펀의 원리가 담겨 있다.
사이펀(siphon)이란 옮기기 위험하거나 힘든 액체를 기압차와 중력을
이용하여 쉽게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연통형의 관을 말한다.
그림의 A의 물이 B로 이동하는 이유는 속이 빈 원통형
막대(사이펀은 막대에 액체가 차 있어야 작동한다)의
긴 쪽(중간에서부터 꺾어진 곳)이 중력을 더 받아서 짧은 쪽보다
내려가는 힘이 더 크기 때문이다. 공기나 물처럼, 유체의 경우 압력은
단위시간당 지나가는 유체의 부피/통과하는 단면적이 되는데,
갑자기 좁은 곳으로 많은 물질이 지나가기 때문에 압력이 강해지게 된다.
이것이 사이펀의 원리이다.
☞ 계영배의 단면.
☞<출처: (cc) Tomia at wikipedia
사이펀은 기압차와 중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옮기는 관을 말한다.
이 원리는 높은 쪽의 액면에 작용하는 대기압으로 인해 액체가 관
안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낮은 쪽의 액면에도
대기압이 작용하고 있으나 액체를 밀어 올리는 힘은 액면의 높이 차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액체 기둥의 압력만큼 약하게 된다. 그림으로
보면 A의 물이 B로 이동하고 있다. 이유는 속이 빈 막대 중간에서부터
긴 쪽이 중력을 더 받아서 내려가는 힘이 짧은 쪽보다 강하게
작동하게 된다고 말할 수 있다.
(2012년 10월 17일 수암 임 문 호)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나만의 약간 특별한 돼지보쌈 만드는 법 *^^* (0) | 2013.06.25 |
---|---|
카네이션 키우기 (0) | 2013.05.20 |
[스크랩] 겨울철 색다른 찌개를 위하여~/늙은 호박 김치~* (0) | 2012.09.25 |
[스크랩] 1881년부터 2050년까지 170년간 달력 (0) | 2012.09.20 |
열대성 저기압의 종류 (0) | 201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