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 하석의 기준 상.하석(上.下席)의 기준 같은 장소에 합석하는 사람은 당연히 상하의 위계가 있게 마련이다. 위계가 정해지면 앉거나 설 때의 위치도 위계에 의해 차례를 맞춰야 할 것이다. 웃어른이 상석이고 아랫사람이 하석에 앉든지 해야 위치에 의한 위계질서가 지켜진다. 그렇다면 상석은 어디이.. 가정의례 2012.06.16
예절의 방위 예절의 방위(方位) 1. 예절의 동서남북(東西南北) 일상생활이나 의식행시에 방향을 말할 일이 많은데 예절에서 방향을 말하려면 전후좌우(前後左右)라 하지 않고, 동서남북(東西南北)이라 한다. 여러 사람이 각기 향한 곳이 다르면서 전후좌우라 말하면 누구의 전후좌우(前後左右)인지 분.. 가정의례 2012.06.05
말에 대한 예절 ☺말에 대한 예절 1.언어예절의 중요성 예절의 실제는 마음속에 있고, 그 예절의 마음을 상대편에게 인식시키는 첫 번째 방법이 '말'이다. 말은 의미가 담긴 소리이기 때문에 뜻이 통하지 않는 말은 올바른 말이라고 할 수 없다. 어떤 소리에 어떤 의미를 담아서 스스로가 표현하고자 .. 가정의례 2012.05.28
수연례(壽宴禮)와 회혼례(回婚禮) ※수연례(壽宴禮)와 회혼례(回婚禮) 1. 수연례(壽宴禮) 가. 수연례의 의미 .수연이란 어른의 생신을 아랫사람들이 상을 차리고 술을 올리며 오래 사시기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고례에는 수연례란 말이 없고 헌수가장례(獻壽家長禮)라 하였다. 나. 수연례의 종류 아랫사람이 태어난 날은 생.. 가정의례 2012.03.28
위계질서 ※위계질서(位階秩序) 1. 위계의 질서의 중요성 위계란 위와 아래, 앞과 뒤, 먼저와 다음과 같은 차례를 말하는 것이고, 질서란 그 위계를 원만하게 지켜서 대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사람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는 말은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말하거나 헌법에서의 국민.. 가정의례 2012.03.16
경례의 종류와 방법 ※경례의 종류와 방법 경례는 섬 살이, 즉 입식생활(立式生活)에서 하는 절이다. 한복을 입고 경례할 때는 반드시 공수를 해야 되고, 양복을 입었을 때도 조직생활이나 제복(制服, 유니폼)이 아니면 공수를 하고 경례를 해야 공손한 경례가 된다. 1). 의식에서의 경례 전통적인 절도 .. 가정의례 2012.02.17
절하는 방법 설날도 3일 남았네요. 요즈음 텔레비전이나 또는 설날에 다녀 보아도 제대로 절을 하는 사람들이 많치 않아 절하는 방법을 올려 봅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남자의 절 가. 남자의 큰절. 계수배(稽首拜) 1). 공수하고 대상을 향해 선다. 2). 공수한 손을 눈높이 까지 올렸다가 .. 가정의례 2012.01.20
절의 종류와 절하는 요령 *절의 종류와 절하는 요령 가. 절의 종류와 절하는 대상 남녀의 절과 경례는 읍례의 경우와 같이 대상에 따라 절의 종류가 다르다. 1). 큰 절 ● 명칭: 남자는 계수 배(稽首 拜), 여자는 숙배(肅拜)이다. ● 대상: 자기가 절을 해도 답배(答拜)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에게나 의.. 가정의례 2012.01.03
간단한 예의 표시(읍례 법) ※읍례 법 (揖禮 法) 가. 읍례의 의미 읍례는 장소관계나 기타의 사정으로 절을 해야 할 대상에게 절을 할 수 없을 때에 간단하게 공경을 나타내는 동작이다. 그러므로 읍례는 간단한 예의 표시일 뿐이지 절은 아니다. 따라서 어른을 밖에서 뵙고 읍례를 하였어도 절을 할 수 있는 .. 가정의례 2012.01.02
절에 대한 예절 1.절의 의미 절은 상대편에 공경(恭敬)을 나타내 보이는 기초적인 행동 예절이다. 절하는 대상은 사람 뿐 아니라 공경을 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標像)에 대해서도 한다. 한 민족, 한 국민 이라면 절하는 방법도 통일되어야 함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다행스럽게도 우리나라.. 가정의례 201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