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도 3일 남았네요. 요즈음 텔레비전이나 또는 설날에 다녀
보아도 제대로 절을 하는 사람들이 많치 않아 절하는 방법을 올려
봅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남자의 절
가. 남자의 큰절. 계수배(稽首拜)
1). 공수하고 대상을 향해 선다.
2). 공수한 손을 눈높이 까지 올렸다가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손을 벌리지 않는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4). 오른쪽 무릎을 왼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5). 왼발이 앞(아래)이 되도록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는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6).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댄다. (차양이
있는 갓을 썼을 때는 차양이 손등에 닿게 한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된다. 요즈음 절을 할 때는 모자를 쓰지 않는다.)
7).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9).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세운 오른쪽 무릎위에 얹는다.
10). 오른쪽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서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나. 남자의 평절. 돈수배(頓首拜)
큰절과 같은 동작으로 한다. 다만 큰절의 (6)번동작 이마가
손등에 닿으면 머물러 있지 말고 즉시 (7)번 동작으로 이어서
일어나는 것이 다르다.
다. 남자의 반절. 공수배(控首拜)
큰절과 같은 동작으로 한다. 다만 큰절의 (5)번 동작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 것과 (6)번 동작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손등에 대는 것과 (7)번 동작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떼는 부분을 생략한다.
공수한 손을 바닥에 대고 무릎을 꿇는 자세에서 엉덩이에 머리까지
수평이 되도록 엎드렸다가 일어나는 절이며 또한 반절은 평절을
약식으로 하는 절이라 이해하면 된다.
라. 임금에게 하던 고두배(叩頭拜)
공수한 손을 풀어서 두 손을 벌려 바닥을 짚으며 하는 절을
고두배라 한다. 고두배는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절이며 한 번
절할 때 세 번을 이마로 바닥을 두드리는 것으로 현대에는 임금이
없으니 고두배를 하여서는 안 된다.
※. 여자의절
가. 여자의 큰절. 숙배(肅拜)
여자의 큰절 숙배는 예전에 무장을 한 군인이 진중에서
군례(軍禮)를 할 때 하던 절이었는데 이것이 여자의 큰절로
행해지고 있다고 한다.
1). 공수한 손을 어깨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다. (너무 올리면
겨드랑이가 보이므로 주의한다.)
2). 고개를 숙여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붙인다. (엄지 안쪽으로 바닥을
볼 수 있도록 한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4). 오른쪽 무릎을 왼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5). 오른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6). 윗몸을 반(45도) 쯤 앞으로 굽힌다. (이때 손등이 이마에서
떨어지면 안 된다. 여자가 머리를 깊이 숙이지 못하는 것은 머리에
얹은 장식이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7).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9). 일어나면서 왼쪽 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10). 수평으로 올렸던 공수한 손을 원위치로 내리며 고개를 반듯하게
세운다.
나. 여자의 평절. 평배(平拜)
여자의 평절은 원래 중국여자의 큰절이었는데 우리나라의 큰절보다
수월하므로 평절로 쓰인다.
1). 공수한 손을 풀어 양 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린다.
2).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3). 오른쪽 무릎을 왼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4). 오른쪽 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5).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모아서 손끝이 밖(양옆)을 향하게
무릎과 가지런히 바닥에 댄다.
6). 윗몸을 반(45도) 쯤 앞으로 굽히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 댄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어깨가 치솟아 목이 묻히지
않도록 팔 굽을 약간 굽혀도 괜찮다.)
7).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서 뗀다.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며 손끝을 바닥에서 뗀다.
9). 일어나면서 왼쪽 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10). 공수하고 원자세를 취한다.
다. 여자의 반절. 반배(半拜)
여자의 반절은 평절을 약식으로 하면 된다. 답배해야 할 대상이 많이
낮은 사람이면 남녀 모두 앉은채로 두 손으로 바닥을 짚는 것으로
답배하기도 한다.
(2012年 1月 20日 邃 菴 任 文 鎬)
'가정의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계질서 (0) | 2012.03.16 |
---|---|
경례의 종류와 방법 (0) | 2012.02.17 |
절의 종류와 절하는 요령 (0) | 2012.01.03 |
간단한 예의 표시(읍례 법) (0) | 2012.01.02 |
절에 대한 예절 (0) | 201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