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절의 방위(方位)
1. 예절의 동서남북(東西南北)
일상생활이나 의식행시에 방향을 말할 일이 많은데 예절에서
방향을 말하려면 전후좌우(前後左右)라 하지 않고,
동서남북(東西南北)이라 한다.
여러 사람이 각기 향한 곳이 다르면서 전후좌우라 말하면 누구의
전후좌우(前後左右)인지 분간 할 수 없을 것이므로 그 혼란을 막기
위해서다. 예절에서 말하는 동서남북(東西南北)은 자연의
동서남북(東西南北)과 관계없이 예절을 행하는 장소에서 제일
윗자리(상석)가 북쪽이고, 상석의 앞이 남이며, 왼쪽이 동이고, 오른쪽이
서쪽이 된다. 그 이유는 상석에 웃어른이 앉아야 하는데 언제든지
웃어른은 남향에 앉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① 제의에서는 신위를 모신 곳이 북쪽이고,
② 혼인 예식에서는 주례가 있는 곳이 북쪽이고,
③ 사무실에서는 제일 상급자가 있는 곳이 북쪽이고,
④ 교실에서는 선생이 계신 곳이 북쪽이고,
⑤ 행사장에서 단상(壇上)이 북쪽이고
,
⑥ 묘지에서는 그 묘지가 어디를 향했던지 북쪽에서
남향한 것으로 보고,
⑦ 모든 건물(특히 사당)은 어느 쪽을 향했든 북쪽에서
남향한 것으로 보아 동서남북을 정한다.
2. 예절방위의 특례
일반적으로 예절에서의 방위는 동서남북으로 말하는데 다음과 같은
특례가 있다.
① 특정 자연인 (사람)을 기준으로 말할 때는 ‘누구의 왼쪽’ ‘누구의
오른쪽’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자연인을 기준으로 말하면 혼돈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주인의 왼쪽·오른쪽)
② 특정 자연인을 기준으로 말하지 않고 그냥 좌우나 전후라 말할 때는
웃어른(尊長), 즉 상석의 전후이며 좌우를 의미한다.(左右則 尊長之左右)
3. 남좌.여우(男左.女右)는 남동.여서(男東.女西)
①. 공수(拱手)할 때의 남좌.여우(男左.女右)
우리가 흔히
남좌.여우(男左.女右)란 말을 많이 쓴다. 공손한 자세를 취하려고
공수할 때 평상시에 남자는 왼손이 위이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인 것이
대표전인 것이다. 공수는 남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니고 자기 혼자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 상석이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자기의 왼쪽이
동쪽이고 오른쪽이 서쪽이 된다. 동쪽은 해가 뜨는 곳이니까 양(陽),
즉 남자이고, 서쪽은 해가 지는 쪽이니까 음(陰), 즉 여자이다. 그러니까
남자는 왼손을 위로 하고, 여자는 오른쪽을 위로 하는 것이다.
남 좌 여 우란 바로 남자는 동쪽, 여자는 서쪽이란 말이다. 혼자서 하는
공수는 자기기준으로 남자는 좌측이고, 여자는 우측이면 된다.
남좌.여우란 바로 남자는 동쪽, 여자는 서쪽이란 말이다. 혼자서 하는
공수는 자기기준으로 남자는 좌측이고, 여자는 우측이면 된다.
(공수할 때와 남녀 때의 남좌여우)
②. 의식 행사 장소에서의 남좌.여우
그러나 남자와 여자가 의식장소에 참석할 때의 위치를 남좌.여우라고
해서 각자의 좌우에 기준하게 되면 혼란을 야기한다. 분명히 이때의
좌우는 특정의 자연인을 기준으로 말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그 장소의 상좌의 좌측이 거기에 참석한 모두의 좌측이고
상좌의 우측이 모두의 우측이 된다. (그림 24-2)
때라서 특정 기준이 없이 좌우라고 말할 때는 좌는 동쪽을 의미하고
우는 서쪽을 가리키는 것이다. 상좌의 좌측이 동쪽이고, 상좌의 우측이
서쪽이기 때문이다.(家禮 居家雜儀).
실제로 남좌.여우(男左.女右)라고 하지만 손을 맞잡는 공수의 경우와 같이
자기 자신에 국한할 때는 자기의 좌우를 의미하지만 남자와 여자가 함께
참석하는 의식장소의 좌석 배치는 남자가 동쪽이고 여자가 서쪽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의동서는 상좌의 좌측이 동이고 우측이 서쪽으로
설정된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손의 절을 받기 위해 북쪽서 남향해
앉을 때 남자인 아버지가 동쪽에 앉고 여자인 어머니가 서쪽에 앉으며,
제례를 올릴 때 자손들이 북쪽의 신위를 향해 설 때도 남자 자손이
신위의 좌측인 동쪽에 서고 여자 자손이 신위의 우측인 서쪽에 선다.
남좌.여우(男左女右)는 남동.여서(男東.女西)임을 알 수 있다.
남좌.여우의 좌석 배치 (어른이 기준이다)
(2012年 6月 5日 邃 菴 任 文 鎬)
'가정의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 하석의 기준 (0) | 2012.06.16 |
---|---|
말에 대한 예절 (0) | 2012.05.28 |
수연례(壽宴禮)와 회혼례(回婚禮) (0) | 2012.03.28 |
위계질서 (0) | 2012.03.16 |
경례의 종류와 방법 (0) | 2012.02.17 |